Search Menu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모두 해야 하나요?

시간이 없는데 UX 리서치 꼭 해야 하나요?

마음을 자주 바꿔야 오차가 없습니다

Dark Light

사용성 테스트에서도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사용성 문제를 빠르게 확인할 때에는 소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UT를 하고 사용성 개선으로 인해 실제로 얼마나 제품 이용 경험이 개선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ustomer Job 완료율이나 작업 시간, 만족도 등 측정 기준을 통해 ‘유용함’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정성조사(Qualitative Research)는 사용하기 쉽거나 어려운 디자인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하는 행동을 관찰한 결과로 구성되지만,
  •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정량조사(Quantative Research)는 특정한 태스크를 사용자가 수행할 때 쉬웠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예: 수행 시간, 태스크 완료율)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죠.
사용성 테스트가 아니더라도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모두 하면 좋습니다. UX 리서치에서는 두 가지를 적절히 섞어서 가설을 검증하는 것은 Mixed Research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2가지를 동시에 진행하는 대신 검증하려는 문제, 즉 '가설'에 따라서 적절한 조사방법을 조합할 때가 많습니다. 어떤 생각이나 태도를 갖고 있는지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과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꼭 기억해야 할 것은 3가지입니다.
  1. 대답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는 대부분 차이가 있다.
  2. 생각이나 태도를 물을 때와, 어떻게 행동하는지 확인할 때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3. 정성조사를 할지, 정량조사를 할지는 무엇을 알아볼 것인지를 정하면 자연스럽게 추려진다.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비교하기

정성조사 (Qual Research)정량조사 (Quant Research)
무엇에 대해 알아보는가?도대체 왜 그럴까?얼마나 많이, 자주 그럴까?
조사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디자인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
– 사용성 이슈를 발견하기 위해서
– 사용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나 그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
– 현재 사용자가 쓰고 있는 제품의 사용성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서
– 시간을 갖고 지속적으로 사용성을 진단하기 위해서
– 현재 우리 서비스와 경쟁사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 RoI(Return on Investment)를 측정하기 위해서
언제 사용할 수 있는가?언제든지

– 디자인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 최종 디자인 솔루션을 정의한 단계에서
실제로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이 있는 상태에서

– 디자인 사이클 시작 단계에서 기존 제품으로
– 디자인 사이클 마지막 단계에서 새로운 제품으로
결과물은 무엇인가?UX 리서처가 관찰한 내용, 해석한 바, 기존 지식이나 리서치 결과에 따른 분석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화된 결과로 다른 리서치에서도 반복해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결과 (신뢰수준, 표본오차가 중요한 이유)
어떤 방법을 활용하는가?– 5~8명 내외의 적은 참여자로도 가능
– 팀, 조직 상황에 따라서 리서치 방법론을 유연하게 적용
– 참여자는 어디를 보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소리내어 말하는 ‘Think-aloud’ 방식으로 참여
– 신뢰수준, 표본오차가 중요하므로 많은 표본이 필요 (+30)
– 오류가 없도록 질문 순서, 보기 순서, 표본 선정 등이 엄격하게 점검된 후에 진행 (설문 배포 후 수정할 경우 기존 데이터는 분석하기 어려우므로)
실무에서 기억할 특징은 무엇인가?실무 활용형 – 중요한 문제를 발견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적은 숫자라도 가능한 빨리 정성조사를 해보는 것이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효과적리더십 설득형 – 모든 문제에 정량조사를 활용하려는 대신, 가장 심각한 사용성 문제를 개선한 사례에 대해서 실제 비용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리더십 설득 방법으로서 선택적 활용
©NNG & WHTM
정량조사는 How Many, How Much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성조사에 비해 통계적인 신뢰도를 요구하므로 최소 임의로 추출한 표본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할 때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UT나 IDI와 같은 정성조사 방법론은 3명에서 5명이라는 비교적 적은 숫자라도 고객이 겪는 사용성 문제가 주요 불편사항(Bottle Neck)을 알아차릴 수 있죠. 그래서 저는 일정, 예산에 쫓기는 현업에서는 정량조사를 자주 하려고 고집하기보다는 정성조사를 가능한 빠르고 빈번하게 수행하는 것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량조사는 꼭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서 분기 별로 1회 진행하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정성조사를 짧은 주기로 반복함으로써 정량조사의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생각과 행동을 구분해서 알아보기 (질적, 양적 구분과 별개의 문제)

사용자가 어떻게 생각하는가?사용자가 어떻게 행동하는가?
IDI(In-depth Interview)Ethnographic Research
SurveyUT(Usability Test)
FGI(Focus Group Interview)A/B Test
Preference TestEye Tracking
Diary StudyField Research
VoCShadowing
©Christian Rohrer, WHTM